1. 홈
  2. 뉴스
  3. 오늘의 뉴스

오늘의 뉴스

'함박꽃' 진천 작약.. 틈새시장으로 '활기'
인쇄인쇄 확대 축소 좋아요좋아요 35  취재기자 : 허지희, 방송일 : 2024-05-17, 조회 : 425
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이 글 링크복사
Loading the player..


좋아요


◀ 앵 커 ▶
화려한 모습 덕에 일명 '함박꽃'으로 불리는 진천 작약이 해외 수출길에 오르고 있습니다.

요즘 화훼 산업이 많이 어렵다고 하는데, 진천군이 주로 전남에서 재배하던 이 꽃을 키워 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.

허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

 

◀ 리포트 ▶

 

연분홍색 몽우리가 수줍은 자태를 드러냅니다.

 

몽우리 때와 달리 활짝 피면 100장이 넘는 꽃잎으로 화려함이 극에 달해 함박꽃으로 불리는 꽃, 작약입니다.

 

한 화훼 법인을 중심으로 진천 20여 농가가 작목반을 이루고 있습니다.

 

진천 작약은 해마다 재배면적이 늘면서 4ha까지 늘었습니다. 

 

올해는 100만 송이 가까이 생산될 것으로 보입니다.

 

겨울을 나야 하는 작약은 동남아 국가에선 재배가 안 돼 지난해 태국에 3만 불을 시작으로 해외 수출 길에도 오르기 시작했습니다.

 

올해는 대만과 말레이시아에서도 관심을 보이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습니다.

 

지난주부터 매주 대만으로, 이번주부터는 말레이시아로 1톤가량을 수출하기 시작했고, 미국 수출도 논의하고 있습니다.

 

◀ INT ▶이정일/진천작약수출반 대표

"대만은 일본에서 작약을 갖다 썼는데 오히려 한국 물건에 대해서 아주 호감이 좋고요.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도 다음 주 불교 행사가 있는데 저희들 작약을 쓰겠다고 해서 저희들이 선적을 한 상황입니다."

 

5월 중순 몽우리 상태로 한꺼번에 수확하는 작약은 2달 가까이 냉장 보관이 가능해 7-8월까지 수출에 문제가 없습니다. 

 

여기에 전국의 80%가 전남에서 재배되고 있는데,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진천 등 중부권 재배가 더 적합해지고 있습니다.

 

진천군은 마을 소득작물로 지난해부터 노인정 5곳에 재배하도록  지원하고 있습니다.

 

◀ INT ▶강상훈/진천군 농업정책과 과장

"작년에 작약을 심어서 올해는 작약 생장을 위해서 핀 꽃을 잘라 버리고, 내년부터 작약을 수확해서 납품해서 동네 소득으로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."

 

진천을 대표하는 장미는 남미 국가와 가격경쟁력에서 밀리며 수출 재배가 줄고 있는 상황.

 

틈새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작약이 새로운 가능성이 되고 있습니다. 

 

mbc 뉴스 허지희입니다.